퇴틀러군
2025. 5. 9. AM 10:24
퇴틀러군은 퇴틀러 연합의 국군이다. 퇴틀러 연합의 국군통수권은 전적으로 퇴틀러연합 소속 퇴틀러군의회장에게 있으나, 대부분의 군수권이 페어미온느 왕국 소속이므로 페어미온느 왕국에 국군통수권이 속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계급
저 | 역 | 초 | 고 | |
---|---|---|---|---|
임 | 저임 | 역임 | 초임 | 고임 |
선 | 선임 | 역선 | 초선 | 고선 |
지 | 지임 | 역지 | 초지 | 고지 |
철 | 철임 | 역철 | 초철 | 고철 |
력 | 저력 | 역력 | 초력 | 고력 |
- “임” 계열: 최고위 전략 사령부에 소속된 인물들. 국가 단위 및 연합 군체계를 지휘
- “선” 계열: 야전에서의 작전 실행 중심. 중대 ~ 여단 규모의 직접 지휘 계층
- “지 / 철 / 력” 계열: 전투 현장 중심의 실무 지휘자. 병력의 대부분이 속해 있는 계급군
계급 | 계급장 | 지위 | 부대 규모 | 편제 규모 |
---|---|---|---|---|
원수 | 군의회장 | 연합 | 연합군 | |
고임 | 군수사령관, 육군본부사령관, 집단군사령관, 작전사령관 | 연합 | 집단군 | |
초임 | 근위사령관, 인사사령관, 의무사령관; 야전군사령관 | 국가 | 집단군 | |
역임 | (독립)군단장, 교육사령관, 육군군수사령관, 육군인사사령관, 특수전사령관, 정보사령관 | 영역 | 군단, 함대, 비행단, 기능사령부 | |
저임 | 독립사단장, 훈련소장, 사관학교장 | 독립사단, 독립전단 | ||
고선 | 독립여단장, 사단장, 부사관학교장, 기능교육학교장 | 구역 | 사단, 전단 | |
초선 | 여단장, 전문교육여단장 | 토지 | 여단, 전대 | |
역선 | 연대장 | 블럭 | 연대, 대대 | |
저선 | 독립중대장, 대대장 | 건물 | 대대, 편대 | |
고지 | 중대장 | 선단 | 중대 | |
초지 | 중대장 | 중대 | ||
역지 | 소대장 | 방들 | 소대 | |
저지 | 소대장 | 소대 | ||
고철 | 대 | 대 | ||
초철 | 반장 | 방 | 반 | |
역철 | 반장 | 반 | ||
저철 | 분대장 | 분대 | ||
고력 | 분대장 | 개인 | 분대 | |
초력 | 분대장 | 분대 | ||
역력 | 분대장 | 병 | ||
저력 | 병 |
편제
군사 편제는 대부분 자소크 철학단의 것과 유사하다. 퇴틀러 연합이 자소크 철학단을 계승한 국가이기 때문이다.
군의회 (◇5)
- 육군본부 (◇4)
- 작전사령부 (◇4)
- 제1집단군 “페어미온느” (◇3)
- 제2집단군 “엘리토니아” (◇3)
- 제3집단군 “에철리오트” (◇3)
- 교육사령부 (◇2)
- 사관학교
- 부사관학교
- 전문교육여단
- 훈련소
- 군수사령부
- 인사사령부
- 특수전사령부
- 미사일사령부
- 정보사령부
- 작전사령부 (◇4)
- 해군본부 (◇4)
- 작전사령부
- 제1함대 “투타여니크”
- 제2함대 “유사”
- 제3함대 ”니샤디“
- 제4함대 “비샤디”
- 제18전단 “에철리오트 만”
- 군수사령부
- 교육사령부
- 사관학교
- 항공사령부
- 정보사령부
- 작전사령부
- 비군본부 (◇4)
- 작전사령부
- 군수사령부
- 교육사령부
- 공중전사령부
- 미사일방어사령부
- 정보사령부
- 의무사령부 (◇3)
- 근위사령부 (◇3)
- 경찰사령부 (◇2)
- 군수사령부 (◇2)
육군 작전사령부
제1집단군 “페어미온느”


- 제1야전군 “아첸테모이레 (Açentemoire 수도)”
- 제2야전군 “예트라 (Ëtra)”
- 제3야전군 “그로시히 (Grôsih)”
- 제4야전군 “토리다스 (Toridass)”
- 제5야전군 “에샤투 (Êxatue)”
제2집단군 ”엘리토니아“
제3집단군 ”에철리오트“
#스치 #퇴틀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