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문
  2. 마법

포터스

2025. 5. 8. AM 9:02

편집 내역


포터스 또는 포터스공학자소크 문화의 마법이다. 포터스는 운론에서 말하는 을 어떻게 다루어 활용하는지에 대한 학문이다.

포터스에서 마법을 하여 어떤 동작을 이루는 행동을 마법행위라고 하고, 마법행위는 보통 입으로 주문을 영창하여 만들어지므로, 구사한다고 한다.

마법단위

포터스에서는 숄레프(Exolef, $\pu{Sh}$)라는 단위를 사용한다.1 숄레프는 존재감정을 느끼는 정도를 말하며, 특히 슬픔을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다. 감정은 주관적인 것이므로 그 절대치는 정의하기 힘들지만, $\pu{1 Sh}$는 자살시도를 할 만큼의 큰 감정치를 말한다. 따라서 보통은 $\pu{mSh}$(밀리숄레프)와 같이 작은 단위를 사용한다

감정 (mSh)느낌
1000절망, 무기력, 좌절, 자살사고, 충동
800고통, 좌절, 불안, 초조
600공포, 분노, 답답함
400피로, 짜증
200불편감
0무감각, 무감(無感)
-200유쾌, 재미
-400안정, 즐거움
-600희망, 평화
-800사랑, 수용, 포용, 감동
-1000황홀, 쾌감, 도착

마법적 행위는 마법행위라고 하는데, 이는 시간을 두고 행해지는 것이다. 마법행위는 감정을 시간에 대해 적분한 단위를 사용하며, 1초에 느끼는 감정량의 단위는 에처(Eçy, $\pu{E}$)이다. 어떤 마법은 단발적으로 진행되며, 어떤 마법은 지속적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어떤 마법은 숄레프로, 어떤 마법은 에처로 단위가 구성된다.

물리학적 해석

물리학적으로 마법행위는 일에 해당한다. 따라서 $\pu{E}$와 $\pu{J}$은 동일차원의 단위라고 볼 수 있다. 이는 $\pu{Sh}$와 $\pu{W}$가 동일차원의 단위라는 의미를 함유한다.

$\pu{1 Sh}$의 감정이 발생했을 때 사람이 죽음에 이를 가능성이 아주 높아진다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이것을 물리학적인 단위, 즉 와트나 줄 등으로 바꿔볼 수 있다.

체중이 $m = \pu{69 kg}$인 사람이 $h = \pu{11 m}$를 낙하하여 사망한다고 하자. 이때 이 사람이 받은 위치에너지의 양은

$$mgh = \pu{69 kg} \cdot \pu{11 m} \cdot \pu{9.8 m/s^2} = \pu{7438.2 J}$$

이다. 이것을 $\pu{1 E}$라고 한다면

$$\pu{1 E/s = 1 Sh = 7438.2 W}$$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즉, 가벼운 LED를 켜는 정도의 마법2은 $\pu{0.4 mSh}$정도의 감정을 소모한다.

반물질 활용 가설

광자가 물질과 상호작용하면 쌍생성을 일으키는데, 이때 생성된 반물질을 모아놓은 것이 슈타이니세뮤가 되고, 마법행위에 의한 물리현상의 에너지원이 된다. 따라서 포터스는 숄레프치와 에처치에 의해 계산되는 에너지의 양보다 더 큰 에너지를 낼 수 있다. 이것은 운론에서 설명하는 과도 관련이 있는 것이다.

을 기계적으로 활용하도록 만드는 포터스 도구가 바로 포터소트이다.

베르쿠암 영창

베르쿠암은 포터스 마법행위를 구사하기 위해 영창되는 언어이다. 능숙한 포터신(마법사)은 베르쿠암 영창 없이도 마법을 구사할 수 있으나, 이것에는 고도의 집중력과 연습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영창 없이 구사되는 마법행위는 감정의 소모가 더 적고 효율적이다.

음숄레프마법

음숄레프마법이란 마법비용이 음수인 마법을 의미한다. 이 경우 구사자는 음숄레프를 챙기게 되므로 세상의 외부에너지를 소비하는 마법이 된다. 따라서 이는 다른 이를 고통스럽게 만드는 것이 된다.

음숄레프마법은 윤리적으로 올바르지 않다고 판단되므로 금지마법에 해당하고, 구사를 금지하고 있다.

#스치


  1. 과거에는 자소크어에서 /S/ 음가를 나타내기 위해 <sh>를 사용했기 때문에 “x” 또는 “ex"가 아니라 “sh"가 단위가 되었다. ↩︎

  2. 해리 포터의 “루모스”와 비슷한 것. 150루멘정도의 빛을 낸다고 할 때, 전력을 $\pu{3 W}$라고 가정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