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문
  2. 언어
  3. 자소크어족
  4. 자소크어파
  5. 자소크어군
  6. 자소크어

표준 자소크어 규정

2025. 5. 10. PM 12:16

편집 내역


표준 자소크어 규정자소크어로 문장이나 의미를 표현할 때에 지켜야 하는 규칙을 담은 문서이다. 표준적인 자소크어표준 자소크어 규정을 잘 지킨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이 문서는 메타계에서 사용하는 라틴 문자를 위한 규정으로 통한다.

자소크어에서 규정하는 규칙을 지키는 자소크어를 표준 자소크어 또는 아벨리카 자소크어라고 부른다.

음운론

자소크어에는 24개의 음소가 있다.

음소대표 발음문자
g/g/g
n/n/n
m/m/m
s/s/s
d/d/d
v/v/v
z/z/z
l/l/l
x/ʃ/x
k/k/qu, k
t/t/t
c/t͡ʃ/c
ç/t͡s/ç
p/p/p
h/χ/h
r/ɾ/r
f/f/f
a/a/a
y/ʌ/y
o/o/o
u/u/u
i/i/i
j/j/j
e/e/e

변이음

문자

표준 자소크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대문자소문자이름
GgGa
NnNa
MmMa
SsSa
DdDa
VvVa
ZzZa
RrRa
XxExa
LlLa
KkQua
QqQua-sam’U
TtTa
CcCa
PpPa
HhHa
RrRa
FfFa
AaA
YyY
OoO
UuU
IiIe
JjJa
EeE

다이어크리틱

억음부호

억음부호는 è계 속격을 만들 때에 사용된다. ㅇ 경우 발음이 변화한다.

양음부호

양음부호는 é계 속격을 만들 때에 사용된다. 이 경우 «é»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 발음이 변화한다.

곡절부호

곡절부호는 두 모음이 축약되는 경우에 사용되고, 주로 같은 모음이 한 자리에 축약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때, 트레마는 축약되지 않는다.

트레마

트레마는 모음 전에 /j/ 음소가 있음을 나타낸다. 주로 트레마가 붙은 모음은 장음으로 발음된다.

세디유

C에는 세디유가 붙을 수 있다. 이 경우 /t͡s/로 발음된다.

슬래시

O에는 슬래시가 붙을 수 있다. 이 경우 /ø/로 발음된다.

문장 부호

문장의 시작은 대문자를 사용한다.

명사구의 명사 부분을 포함하는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쓴다. 이 경우, 하이픈으로 구분한 것 역시 단어로 친다.

문장의 끝에는 “.”을 사용한다. 이 앞은 붙이고 뒤는 띄어쓰기한다.

문장의 짧은 휴지에는 “,”를 사용한다. 이 앞은 붙이고 뒤는 띄어쓰기한다.

병렬의 표현에서도 “,“를 사용한다. 이 앞은 붙이고 뒤는 띄어쓰기한다.

문장의 긴 휴지에는 ”…”를 사용한다. 이 앞과 뒤는 띄어쓰기한다.

인용 혹은 목록의 예고에는 “:”를 사용한다. 이 앞과 뒤는 띄어쓰기한다.

두 문장이 하나의 이야기를 하는 경우 “.,” 또는 “;”를 문장의 끝 부호 대신 사용한다. 이 앞은 붙이고 뒤는 띄어쓰기한다.

인용구의 시작에는 ”«“, 끝에는 ”»”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때 시작 부호의 앞은 띄어쓰기하고 뒤는 붙이며, 마침 부호의 앞은 붙이고 뒤는 띄어쓰기한다.

인용구 내에서 다시 인용하거나, 약한 인용을 할 때, 시작에는 “‹”, 끝에는 “›”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때 시작 부호의 앞은 띄어쓰기하고 뒤는 붙이며, 마침 부호의 앞은 붙이고 뒤는 띄어쓰기한다.

정서법

정서법 설명에서 등장하는 “단어”는 띄어쓰기 또는 하이픈으로 구분되는 문자열을 의미한다.

X 정서법

단어의 어두가 «x»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앞에 «e»를 붙이고 «e»를 읽지 않는다.

Q 정서법

한 음절 내의 자음군의 /k/는 «k», 그렇지 않은 /k/는 «qu»로 나타낸다.

[ə]로 실현되는 /r/ 뒤에서는 «qu»로 나타낸다.

E 정서법

단어의 어말이 «i» 또는 «u», «ü»로 끝나는 경우에는 뒤에 «e»를 붙이고 «e»를 읽지 않는다.

J 정서법

«J»가 단독으로 존재할 때에는 /i/로 읽는다.

단어 «j»가 1차로 합용되어 만들어진 단어를 제외하고, 단어에는 “j”를 사용할 수 없다.

단어

숫자가수지수역지수
0nohainnia
1jquo, dosoque
2liegesseg
3soüllüe
4farolassalor
5iltilesselit
6çesaillllias
7exeseleeles
8aiefielesseleif
9fefauçassaçuaf

자소크어 수는 가수부와 지수부로 나누어져 수를 나타낸다. 이때 가수부란 수의 유효숫자들을 이르며, 지수부란 수의 지수적 크기를 이른다. 예를 들어, 19,800은 가수부가 198이고 지수부가 2인 수이다. 이때 지수부는 수 뒤에 붙는 0의 개수로 계산한다.

198의 경우에는 지수부가 0이므로 가수만으로 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Jfeaie, 즉 Jfäie가 된다. 19,800의 경우에는 지수부가 2이므로 가수 Jfäie 뒤에 ges를 붙여 Jfäiges가 된다.

198,020과 같은 경우에는 $19\ 802\times 10^{1}$ 또는 $198\times 10^{3}+2\times 10^{1}$의 두 가지 형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간단히 Jfäinohliequo라고 하면 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198,000과 20을 각각 ad로 연결하여 Jfäiüladliquo라고 한다. Jfäinohliequo와 Jfäiüladliquo 둘 다 198,020을 나타내는 수가 된다.

만약 지수부에 10을 넘어가는 수를 표현해야 하는 경우에는 가수부 표현 방식과 마찬가지로 quoain, quodos와 같이 표현한다.

소수점 표현을 위해서는 vos, 소수는 수를 그대로 읽어서 표현한다.

분수 표현을 할 때에는 pyr 앞과 뒤에 수를 붙인다. 예를 들어서, 3 pyr 5(sopyril)은 3/5이다.

서수는 의존명사 Tia를 사용해서 표현한다. 서수 역시 기수와 같이 그 자체로 대명사로 사용되기도 한다.

대명사는 뒤에 Tia, 형용사는 뒤에 -té를 붙여서 활용한다.

합성어 규칙

위 경우에는 단어를 있는 그대로 붙여서 합성어를 만든다.

자음끼리 만나는 경우, 같은 비음끼리 만난다면 둘 다 살아남는다. 그렇지 않다면 l, m, n, x, s, z, 뒤쪽 순으로 우선순위를 가져, 이긴 자가 남는다. 만약 자음군이 만나는 경우, 자음 수가 적은 쪽으로, 둘 다 자음군인 경우에는 뒤쪽으로 자음경쟁을 한 후, 자음이 하나만 남을 때까지 반복한다. 이때, /j/는 자음으로 치지 않는다.

모음끼리 만나는 경우, 같은 것이라면 장음화되고, 다른 것이라면 뒤에 있는 것이 남는다.

é계 명사구

형용사가 명사를 전치수식하거나 명사의 속격이 형용사구로 되어 명사를 전치수식하는 경우, é계 명사구를 사용한다. 이때 é는 단어의 앞뒤에 붙여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때 é는 /e/라고 읽는다.

만약 é가 수식하거나 수식받는 대상이 띄어쓰기 혹은 하이픈으로 구분된 단위 이상이라면 그 방향의 é 직전후를 띄어쓰기한다.

안은 문장의 빈 성분으로서 é계 명사구를 형성할 때에는 빈 성분의 격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에는

등,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자음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É 직후에 등장하는 것이 모음이라면 그것과 합쳐서 á, ê, í, ó, ú, ý와 같은 표기를 하며, 단어가 묵음인 h로 시작할 때에는 h 다음에 이것을 쓰는 것으로 한다. 이때 ê를 제외하고는 트레마를 위에 붙인 것과 같이 읽는다.

ì계 명사구

ì계 명사구는 é계 명사구의 후치수식 버전이다. 다른 것은 모두 같으나 발음이 /i/인 것에 주의한다.

Ì 직후에 등장하는 것이 모음이라면 그것과 합쳐서 à, è, î, ò, ù 등과 같은 표기를 하며, 단어가 묵음인 h로 시작할 때에는 h 다음에 이것을 쓰는 것으로 한다. 이때 î를 제외하고는 트레마를 위에 붙인 것과 같이 읽는다.

동사

시제

시제양상dios의미행간 주석
과거-ediose했다.PST
현재-içdiosiç하고 있다.PRS.PROG
일반-umdiosum한다.PRS
미래-addiosad할 것이다, 하겠다.FUT

이름양상의미행간 주석구분
피동-uque당하다PASS
가능-ut할 수 있다POSB
필요-un해야 하다NEC
욕구-ud하고 싶다DES
사동-as시키다CAUS
부정-ah하지 않다NEG부정
가정-usua하면SJV
명령-om해라IMP
청유-ome하자SUBJUNCT
양보-ala했더니RES
명사-ie하기, 함, 하는 것NMZ
이유-ular하니까, 하기 때문에RES
과정-ull하고, 해서?
비록-usuia할지라도CONC
반전-ia하지만REV
확신-z한다, 하겠다, 할 것이다.ASSUM
또는-aro하거나?
동시-efe하면서?

확신접미사 ‘-z’의 경우에는 시제에 따라 실현 방법이 달라지는데, 위 시제어미 표에 있는 순서대로 확신접미사가 붙은 dios를 서술하자면 diosez, diosiz, diosuz, diosaz이다.

주어의 인칭과 수에 따른 동사 변화

자소크어에는 인칭에 따라서 동사가 변화하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서 이를 표기할 수도 있다. 가령 동사의 주체가 2인칭 복수임을 강조하는 등의 공산주의적 분위기를 형성할 경우에 유용하다.

인칭을 표시할 때에는 동사의 맨 앞에 해당 인칭의 인칭대명사의 머리글자와 꼬리글자를 각각 적는다.

목적어, 보어의 인칭과 수에 따른 동사 변화

목적어의 인칭과 수에 따른 동사 변화도 나타낼 수 있다.

목적어의 인칭을 동사의 어미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시제 어미의 마지막 글자를 m, n, h, s로 바꾸고, 단수, 복수에 따라 그 뒤에 o, a를 붙인다. 또는 그렇게 추가되는 부분을 어미 뒤에 위치하여 목적어, 보어위 인칭과 수를 나타낸다.

조사

양상
lo목적격-을/를
da주격-이/가
as보조격-은/는
um내격-에
svo소격-에서
tou인용격-(이)라고
degro야격-도, -역시
samie수반격-와/과
kaim사양격-지도
gie여격-에게
gifas여보조격-에게는
spo시발격-부터, -에서부터
to종착격-까지
svofas소보조격-에서는
ufas내보조격-에는
roy향격-(으)로, -로부터

조사는 그 문장의 서술어를 바라보는 방향에 위치한다. 즉, 조사가 생략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명사구는 바로 서술어에 붙을 수 없으며, 중간에 조사가 위치해야 한다.

조사는 단어의 앞뒤에서 축약이 자유롭게 된다. 또한, 어포스트로피 방향의 단어와 붙여서 표기할 수 있다.

관사

관사는 명사 앞에서 명사가 특수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모든 관사는 생략될 수 있다.

문장

어순은 SOV 어순을 주로 하나, 화자의 습관이나 의미하고자 하는 의미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식은 전치수식을 주로 하나, 역시 자유롭게 변형하여 할 수 있다.

문장에 대한 대답

동사 긍정동사 부정
긍정문Ä, (Nanah)Nah, (Nahä)
부정문Nanah, (Nah)Nahä, (Ä)

기타

날짜

자소크어에서 날짜는 년, 월, 일을 표현할 때에 “Y년의 D번째의 M월”이라는 표현으로 쓰며, «Y-Ärgê D-TéMtal»과 같이 표현한다.

단위

수에 단위를 붙일 때에는 “수 lesé단위” 형태로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간단히 “수 단위”로 읽는 것을 허용한다. 이를테면 “2 kg”을 “Lie Lesékilogram” 또는 “Lie Kilogram”으로 읽는 것이다.

“매 1 A당 n B"는 자소크어로 “A muder n B"로 표현하며, “매 m A당 n B"는 “m A muder n B"로 표현한다. 이를테면, “매년 2x"는 자소크어로 “ärge muder 2x"로 표현하는 식이다.

나누기를 포함한 단위에서는 «pyr»를 사용하여 나누기 부분을 표현한다.

제곱미터, 세제곱미터 등을 나타낼 때에는 지수부 2, 지수부 3을 사용하여 metreges, metreül 등으로 표현한다.

${\textrm {N}}\cdot {\textrm {s}}$와 같이 두 단위를 곱해 얻어진 단위는 Nütn-sequond 혹은 Nünequond로 붙여 읽거나 합성어 규칙에 따라 읽는다. 하지만 metresquared, metrecubed와 같이 외래 단위를 그대로 표현하는 것을 허용한다.

#스치 #자소크